미얀마여, 미얀마여
고난 주간, 미얀마를 돌아보며
2021년 2월 1일 일어난 군부 쿠데타에 반대하여 시작된 민주화 운동에 그동안 수많은 사상자가 발생하였고 지금까지 내전으로 이어져 오고 있다. 그러던 중 금년 3월 28일, 내륙 지역에 진도 7.7의 대지진이 일어나 또 많은 사람들이 사망하고 다치고 기반시설과 건물들이 파괴되었다.
2008년에도 큰 재난이 발생하였는데 미얀마를 강타한 싸이클론 ‘나르기스’로 인해 10만 명으로 추정되는 사람들이 사망하거나 실종되는 아픔을 겪었었다. 곳곳에 시체가 둥둥 떠다니는 참상에 경악한 세계는 구조대와 NGO를 파견하여 적극 구호하려 했다. 그러나 당시 강력한 독재를 행하던 군부는 국제 NGO들을 선별하여 입국시켰고 그 활동을 규제하였다. 여러 규제 조치 중 하나는 물품 배급을 담당하도록 군부에 구호물품을 넘겨줘야 한다는 조건을 내걸었다. 하지만 이는 인도적 지원의 중립성, 공평성, 독립성과 같은 인도주의적 원칙에 반하는 조건이었다. 결국 불필요한 규제 조치로 인해 실제 피해 당사자인 미얀마 주민들은 결국 국제 NGO 로 부터 도움을 제대로 받지 못하게 되었고 일부 군부로 직접 들어간 구호 재정은 불투명하게 집행될 수 밖에 없었다.
이번 대지진 피해에는 미얀마 군부가 국제 NGO 들에게 구호의 문을 열고 있다 한다. 이전 ‘나르기스’ 때엔 인명손실이 주된 피해였다면 이번엔 국가 기반시설과 많은 건물들이 무너져 복구해야 할 재정 규모가 큰 것에도 요인이 있을 것이다. 지난 4년간의 내전으로 인해 군부 재정이 많이 소모되었고 군부 지지자들의 피로도도 높아졌을 것이다. 군부는 이전에 국제 NGO들에게 행했던 관련 규제 조치들을 없애고 공평성과 중립성을 해치지 않는 방식으로, 지원이 필요한 이들에게 의료 및 구호물품이 제대로 전달될 수 있도록 조처해야 할 것이다.
미얀마 군부의 여전한 강포
그러나 군부는 이 와중에도 상대를 공격할 적기로 여기는지, 소수 민족들을 향해 공습을 감행하고 있다 한다. 한국을 포함, 군부를 통해 구호에 참여하는 각국은 고민해야 한다. 재정, 의료 및 구호품이 군부의 무력보강 자금으로 흘러 들어가지 않고 실제 피해민들에게 전달되도록 지혜롭게 대처해야 할 것이다.
‘미얀마 민주화 운동 사상자 지원’ 사업을 해온 비영리 사단법인 국제민간교류협회는, 오랜 기간 고통을 감내하고 있는 미얀마 시민들을 향해 다시금 응원의 마음을 모으고자 한다.
* 미얀마 지진 피해민 지원:
국민은행 435001-01-435682 (사)국제민간교류협회
* 문의: 02) 858-7829 국제민간교류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