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베트남선교연합회
국내 베트남인 이주민을 대상으로 선교하는 한국 교회 및 기독교 단체들의 연합회로서 베트남 복음화를 위해 협력하며 한국과 베트남 교회간의 협력을 증진시키는데 주력하고 있다. 베트남 결혼 이주여성 가족들을 위한 베트남어-한글 대조 성경과 각종 베-한 대조 소책자를 출간하여 배포하고 있으며 매월 정기 모임을 갖고 있다. |
1. 베-한 대조 문서 사역
2024년 | 배포 부수 | 신청 인원수 (개인/교회) |
베-한 대조 성경 | 187 | 36 (27/9) |
베-한 대조 행복네비게이션 | 237 | 5 |
베-한 대조 왜 예수님을 믿어냐 하는가 | 61 | 3 |
베-한 대조 기독교 ABC | 2 | 1 |
베-한 대조 복음 | 100 | 1 |
2. 베트남인 순회 선교
계절근로자는 주로 농업, 어업, 또는 특정 계절에 따라 노동 수요가 집중되는 분야에서 일하기 위해 3~5개월의 한정된 기간 동안 고용되는 근로자이다. 점점 그 숫자가 증가하고 있지만 이들에 대한 관심도 적고 만남도 쉽지 않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심하던 중 금년 하반기에 ‘순회선교공동체’를 발족하였다. 언어가 가능한 은퇴 사역자들이 복음전도, 통역, 소통, 갈등 중재 등 요청이 있으면 방문하여 지원하는 사역이다. 베트남 계절근로자를 대상으로 첫 순회 사역을 시작하였다. |
2.1 계절근로자의 특징
1) 계절근로자는 주로 농작물 수확, 심기, 포장과 같은 단순 노동을 중심으로 활동하며, 어업에서는 해산물 가공이나 포장 작업 등에 투입되는 전문성이 낮은 육체노동이 대부분이다. 채용시 한국어 능력을 요구하지 않기에 고용주와 근로자 간에 언어 장벽 또는 문화적 차이로 인해 문제가 일어나기도 한다.
2) 계절근로자는 비자, 노동 시간, 임금, 복지 등에 대해 법적으로 보호받아야 하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비정상적인 고용 관행, 숙소 환경이 열악하거나 노동 조건이 불공정할 경우 사회적 논란이 발생하기도 한다. 권리와 처우 개선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3) 계절근로자는 짧은 기간의 근로계약으로 인해 국민건강보험에 가입할 수 없다.(6개월 이상 체류자라야 가입할 수 있음) 질병을 얻을 경우 또는 응급 수술을 받을 경우 발생하는 높은 의료비는 본인이나 농가주에게는 큰 부담이다.
4) 농어촌은 제조업에 비해 급여나 근무환경이 좋지 않아 근로자들의 근무지 이탈률이 높다. 이로 인해 농가주들은 외부인의 접근을 꺼린다.
2.2 지원 사례
1) 베트남어를 잘 구사하지는 못하지만 미리 베트남 계절 근로자들과 교제권을 형성해 놓은 한 사역자의 요청에 철원 지역의 한 농장에 사역자를 파견하였다. 휴식 시간인 토요일 저녁, 비닐하우스에 모여 베트남 남녀 근로자들과 인사를 나누고 이들이 직접 만든 식사를 함께 먹었다. 식사를 마친 후 자연스럽게 담소한 후 둘러 앉아 약식 예배 형태로 복음을 전했다. 그리고 준비해간 겨울 옷가지들도 나누며 즐거운 시간을 가진 후 다음 모임을 약속하였다.
2) 계절근로자는 특성상 국민건강보험에 가입할 수 없다. 희년의료공제회는 지자체의 요청과 계절근로자의 건강권을 고려하여 계절근로자들에게 공제회 회원 자격을 부여하여 섬기고 있다.
3. 신년도 계획
3.1 베트남 선교 일일 세미나
3.2 베트남인 선교훈련 프로그램 운영
3.3 재일 베트남 이주민 선교 지원
4. 기도 제목
1) 시작된 ‘베트남 순회선교공동체’를 축복하시어 겸손히 쓰임 받게 하소서
2) 복음의 교제 나눈 철원 베트남 계절근로자들이 귀국하였습니다. 주께서 손 잡아 주소서
3) 일본내 50 만 명에 달하는 베트남 이주민들을 섬기는 목자가 없어 지원 요청이 왔습니다. 새해에 조사팀을 보내 바람직한 방안을 세우고자 합니다.